No edit permissions for Korean

제11~12절

슈짜우 데셰 쁘라띠쉬타뺘 śucau deśe pratiṣṭhāpya
스티람 아사남 아뜨마나하 sthiram āsanam ātmanaḥ
나뜟츠리땀 나띠-니짬 nāty-ucchritaṁ nāti-nīcaṁ
짜일라지나-꾸숏따람 cailājina-kuśottaram

따뜨라이까그람 마나 끄릿바 tatraikāgraṁ manaḥ kṛtvā
야따-찟뗀드리야-끄리야하 yata-cittendriya-kriyaḥ
우빠비샤사네 윤쟏 upaviśyāsane yuñjyād
요감 아뜨마-비슏다예 yogam ātma-viśuddhaye

슈짜우: 신성화된, 데셰: 땅, 쁘라띠쉬타뺘: 두다, 스티람: 확고한, 아사남: 자리, 아뜨마나하: 자신의, 나: 아니다, 아띠: 역시, 웃츠리땀: 높은, 나: 아니다, 아띠: 역시, 니짬: 낮은, 짜일라-아지나: 부드러운 천과 사슴 가죽, 꾸샤 :꾸샤 풀, 웃따람: 덮는, 따뜨라: 그 위에서, 에까-아그람: 한곳에 집중, 마나하: 마음, 끄릿바: 만드는, 야따-찟따: 마음을 다스리는, 인드리야: 감각들, 끄리야하: 그리고 행동들, 우빠비샤야: 앉은, 아사네: 자리 위에, 윤쟛: 수행해야 한다, 요감: 요가 수행, 아뜨마: 가슴, 비슛다예: 깨끗이 하려고.

요가를 수행하려면 외딴곳에 가서 땅 위에 꾸샤 풀을 놓고, 사슴 가죽과 부드러운 천을 그 위에 덮어 자리를 만들어야 한다. 그 자리는 너무 높아도 너무 낮아도 안 되며, 성지여야 한다. 그다음, 요기는 아주 단호하게 앉아 마음과 감각, 그리고 행위를 통제하고 마음을 한곳에 집중함으로써, 가슴을 정화하는 연습을 해야 하느니라.

“성지”란 순례지를 의미한다. 인도에서 요기들, 즉 초월주의자들이나 헌애자들은 모두 집을 떠나 쁘라야가(Prayāga), 마투라(Mathurā), 브린다반(Vṛndāvana), 흐리쉬께샤(Hṛṣīkeśa)와 하르드와르(Hardwar) 같은 성지에 머물며 야무나와 갠지스 같은 신성한 강이 흐르는 곳에서 홀로 요가를 수행한다. 그러나 이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특히 서양인들에게는 더욱더 그러하다. 큰 도시의 소위 요가 단체들은 물질적 이득을 얻는 데는 성공할지 모르나, 진정한 요가 수행과는 거리가 멀다. 자기 마음을 다스리지 못하고 마음에 평온이 없는 자는 명상을 수행할 수 없다. 그러므로 브리한 나라디야 뿌라나(Bṛhan-nāradīya Purāṇa)에서 깔리 유가(현시대)에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수명이 짧고, 영적 깨달음이 느리며 항상 여러 걱정에 시달리므로 영적 깨달음의 최고 수단은 주의 신성한 이름을 구송하는 것이라고 했다.

하레르 나마 하레르 나마 harer nāma harer nāma
하레르 나마이바 께발람 harer nāmaiva kevalam
깔라우 나스띠 에바 나스띠 에바 kalau nāsty eva nāsty eva
나스띠 에바 가띠르 안야타 nāsty eva gatir anyathā

“반목과 위선의 이 시대에 유일한 구원의 방법은 주의 신성한 이름을 구송하는 것이다. 다른 방법은 없다. 다른 방법은 없다. 다른 방법은 없다.”

« Previous Next »